최근 KT에서 LTE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내 와이브로로 사용중인 2.3Ghz 대역을 TD-LTE용으로 허가를 내줘야 한다고 발표를 하여 큰 파장을 불렀다. TD-LTE는 Time Division LTE 의 약자로써 시간으로 분배하는 LTE이다. 이 방식은 중국 정부의 주도 하에 중국 통신사들이 주력으로 밀고 있으며 중국식 3G 방식인 TD-SCDMA에서 연계하기가 수월하다. TD-LTE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FD-LTE와 다르게 1/2의 주파수로 다운로드 속도를 거의 근접하게 구축이 가능하며(단 DL 증가 시 UL의 속도 감소)
4G LTE LTE Advanced for Mobile Broadband FDD-LTE와 TDD-LTE의 프레임 구조 中
각 셀마다 UL과 DL의 비율을 조절하여 지역 특색에 맞게 자원 분배를 하여 데이터 증폭 지역에서 해소 방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. UL과 DL의 전환 스위치인 Special Sumframe의 경우 5ms와 10ms 가 있으며 5ms 의 경우 음성과 같은 실시간 적으로 민감한 경우 10ms의 경우는 데이터와 같이 비 실시간 적으로 데이터 효율을 높일 때 사용한다.
LTE_TDD_technology_overview_rohde_schwarz 中
와이브로의 경우 TD-LTE 방식과 유사하게 Time Division 이기에 TD-LTE로 의 진화가 적합하며, 와이브로의 경우 2005년부터 서비스를 하였었으나 미미한 단말기의 보급과 정부의 고집 적인 태도로 인한 음성서비스 탑재의 비허가 등이 현재와 저조한 와이브로 가입자를 나타나게 되었다. TD-LTE의 주 주파수 대역은 2.3Ghz 대역과 2.6Ghz 대역이며 국내에서는 TD-LTE를 하기 위해서는 TDD 여유 대역 중 하나를 임대 하며 사업 신청을 하여야 하나 이전 정부부터 현재 정부까지 와이브로를 고집하는 상황 이여서 TD-LTE의 허가는 차후에 허가가 나올 가능성을 기대해본다.
글로벌 동향
SKT는 2008년 11월 부터 중국 China Mobile과 TD-LTE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.
미국의 주요 Wimax 공급 사업자인 Sprint Nextel 은 2012년 4월부터 Wimax 용 단말기를 도입을 중지하고 LTE 서비스를 강화 하기로 결정 하였다. Spirnt는 800Mhz 대역에서 7월 15일부터 5개의 도시에서 LTE를 서비스 중
일본 SoftBank는 일본 통신 방식인 XGP를 업그레이드한 AXGP를 이용한 110Mbps를 서비스 하고 있으며 이 또한 Time Division 방식으로 차후 150Mbps가 가능한 TD-LTE를 준비중
인도는 본래 Wimax를 도입하려 하였지만 중국 정부의 외교적 압박 등의 이유로 TD-LTE를 도입하기로 결정함 통신 사업자인 Bharti Aritel은 4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함
그 외에 중국(홍콩), 동남아시아를 제외한 세계 각국에서 선두권이 아닌 통신사들이 주로 비용절감과 효율을 위해 TD-LTE를 도입중이다.
'Mobile > RA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TE-Advanced Carrier Aggregation (0) | 2012.08.23 |
---|---|
LTE의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? (0) | 2012.08.22 |
이동통신 3사 기지국 분석 (0) | 2012.08.21 |
300Mbps LTE 2.0 (0) | 2012.08.21 |
멀티 캐리어 (MC) (0) | 2012.08.21 |